우울증이 안구건조증 악화 위험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우울증이 안구건조증 악화 위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3-21 11:53 댓글0건

본문

안구건조증 환자 13%∼17% 우울증 양성 반응
%EC%95%88%EA%B3%BC_3.png

만성적인 안구건조증과 우울증을 동시에 앓고 있을 때, 눈의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울증과 심한 안구건조증이 연관될 수 있으며, 환자와 의료 제공자들은 그것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국립 안과연구소에 따르면, 건조한 눈은 매우 흔하며, 약 1600만 명의 미국인들에게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그 심각성이 광범위하다.

많은 사람들이 하루 종일 컴퓨터를 응시하는 것에서 온화한 안구 건조증을 앓고 있으며,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안약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특히 일부 환자들은 쇼그렌 증후군이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특정 자가 면역 질환과 관련된 심각한 증상을 가지고 있다.

최근 JAMA Ophthalmology에서 발표된 이 새로운 연구는 우울증과 더 심각한 안구건조증과 징후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연구팀은 안구건조증을 앓고 있는 535명의 성인들 중 우울증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1년 동안의 연구를 통해 더 나쁜 눈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필라델피아 소재 펜실베니아 페렐만의과대학 연구팀은 “심각한 안구건조증이 사람들의 정신적 행복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우울증은 또한 생활 습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 TV와 컴퓨터 화면 앞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 그것은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 대해 마이애미대학의 Bascom Palmer Eye Institute의 Anat Galor 박사는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는 것이 우울증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안구건조증을 앓고 있는 사람도 우울증을 앓고 있을 때, 이를 해소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이 그들의 의료 제공자와 대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를 복용해 상태를 완화시키는 임상시험에 등록된 535명의 안구건조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처음에, 그리고 6개월과 12개월 후에, 참가자들은 표준 정신 건강 설문지를 완성했다. 13%에서 17%의 환자들이 그 시점들 중 하나에서 우울증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우울증과 더 심각한 눈 증상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지어 연구원들이 환자들이 자가 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지 여부와 같은 몇 가지 다른 요인들을 고려한 후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항우울제를 포함한 많은 약들은 부작용으로 안구건조증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항우울제 사용과 안구건조증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었다. 단지 우울증 그 자체였다.”고 밝혔다.

한 가지 질문은 염증이 건성안과 우울증의 질병 과정에 연루되어 있기 때문에 염증이 원인이 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연구팀은 환자의 눈물 샘플에서 염증 표지자를 살펴봄으로써 그 사실을 추적했다. 우울증과 염증 표지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증의 역할을 무시하지는 않는다. 눈 표면의 염증보다는 전신 염증이 우울증과 심한 안구건조증의 연관성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다. 그 메커니즘이 무엇이든 간에, 안구건조증과 정신적 행복 사이의 연관성을 무시할 수없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은 이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안구 건조 증상이 질병의 임상 징후보다 심각하다면 정신 건강 검진을 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의 자금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성인병뉴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