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 바이러스가 MS 촉발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모노' 바이러스가 MS 촉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2-04 12:23 댓글0건

본문

EBV와 MS 사이 ‘매우 긴밀한 연관성’ 형성
%EB%AA%A8%EB%85%B8%EB%B0%94%EC%9D%B4%EB%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는 일부 면역체계를 속여 자신의 신경세포를 공격함으로써 다발성 경화증(MS)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저자인 윌리엄 Robinson 박사(캘리포니아 스탠포드대학 면역학 및 류마티스학의 수석 연구원 박사)는 "EBV에 있는 특정 단백질이 사람들의 두뇌에 있는 단백질을 모방하고, 그 모방이 EBV가 다발성 경화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사이언스지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이 엡스타인-바르(Epstein-Barr)에 감염된 후 MS가 스카이로켓(skyrockets)을 32배 위험하게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로빈슨 박사 연구팀이 1000만 명 이상의 미군 병력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엡스타인-바르와 MS 사이에 ‘매우 긴밀한 연관성’을 형성했다고 말했다.

EBV는 20년 동안 이 그룹에서 발생한 801건의 MS 사례 중 1건을 제외하고 모두 존재했다.

현재 약 100만 명의 미국인들이 다발성 경화증의 영향을 받고 있다. MS는 뇌에서 신체로 가는 신경 신호를 방해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무감각, 근육 경련, 보행 장애, 언어 장애, 마비와 같은 증상을 일으키게 한다.

연구팀은 9명의 MS 환자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을 연구한 결과 이들이 인간 신경계에서 발견되는 GlialCAM이라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Epstein-Barr 바이러스에 결합된 항체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GlialCAM은 미엘린의 접착제 역할을 하는 ‘접착 분자’(adhesion molecule)로, 연장 코드나 전선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코팅과 매우 유사하게 신경 섬유를 코팅하는 지방 절연 피복이라고 로빈슨 박사는 말했다.

로빈슨 박사는 "미엘린 코팅을 파괴하면 전기선이 더 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몸 속의 신경이 더 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본질적으로 MS 환자의 면역계는 Epstein-Barr 바이러스로 신경 보호의 필수 구성 요소를 실수하고 공격하여 미엘린 코팅을 손상시키고 신경계를 손상시킨다.

로빈슨 박사는 "사람의 면역체계의 유전학은 퍼즐의 마지막 중요한 부분을 제공한다."면서 “특정 사람들만이 면역계가 GlialCAM을 Epstein-Barr 바이러스로 착각하게 하는 특정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로빈슨 박사는 "모든 사람들이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거나 박테리아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왔지만 아무도 그것을 증명할 수 없었다."면서 "Epstein-Barr 바이러스가 기계적으로 MS를 유도하거나 유발한다는 것을 증명했고,는 마침내 그것이 사실임을 확실하게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지 최근호에 실렸다.

로빈슨 박사는 이러한 특정 변종에 대한 유전자 검사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를 가진 사람들이 나중에 다발성 경화증에 걸릴 위험이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엡스타인-바르와 MS의 연관성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이해는 또한 잠재적인 치료법과 예방 조치의 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로빈슨 박사는 "장기적으로 MS에 유전적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EBV 백신을 투여하거나 모두에게 EBV 백신을 투여할 수 있다. MS 환자들은 또한 엡스타인-바르와 글리알캄 사이에 교차 반응하는 항체 반응을 끄는 항바이러스제나 면역요법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인병뉴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