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수도권 확진자 조치사항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06-01 12:06 댓글0건본문
해수욕장 개장대비 등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 | |||||||||
이 자리에서 박능후 1차장은 5월 28일 이후 확진 환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지만, 아직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밝히며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앞으로 2주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금 우리에게 생활 속 방역수칙 실천이라는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말하며, 고용주와 근로자, 교직원과 학생 모두가 자신의 공간에서 방역 수칙을 지켜주시기를 부탁했다. 1. 수도권 추가 확진자 관련 현황 및 조치사항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수도권(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수도권 추가 확진자 관련 현황 및 조치사항을 보고 받고 이를 점검했다.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은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확진자의 감염 경로 등에 대한 역학조사를 시행하고, 접촉자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진단 검사를 하고 있다. 서울시는 등교 수업에 따른 유증상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한 선별진료를 5월 20일부터 실시하고 있다. 6월 3일 추가 등교에 따른 교내 확진자 추가 발생에 대비하여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통한 유증상자 등교 전·후 검사를 지속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관내 사찰 149개소를 대상으로 생활 속 거리 두기 준수사항, 실내행사 자제 여부 등에 대한 현장점검을 했고(5월 30일), 소규모 종교시설에 대한 생활 속 거리 두기 이행 등도 점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중교통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고, 이용 시 마스크 착용 의무와 홍보 활동도 계속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대규모 문화·체육·관광 및 종교시설 1,859개소의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여부 등에 대하여 점검을 했다. 경기도 소재 기업체에 대하여 셧다운 사전 예방을 위한 진단(풀링) 검사 지원을 추진한다. 2. 전국 해수욕장 개장 대비 방역 관리 준비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전국 해수욕장 개장 대비 방역 관리 준비상황을 보고받고 이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는 6월 1일부터 7월까지 예정된 전국 267개소 해수욕장 개장에 대비해 이용객 안전과 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지침을 마련·배포했다. 정부는 해수욕장 방역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해수욕장 이용 시 생활 속 거리 두기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시·도, 시·군·구 「해수욕장 코로나19 대응반」을 구성·운영하여 방역 상황에 대한 일일점검을 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의 대응반과 방역 당국 간의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고,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현장 대응반은 방역 당국이 신속하게 방역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협조한다. 더불어 조기 개장 해수욕장을 대상으로 ‘해수욕장 운영대응지침’의 현장 실행 여부를 집중 모니터링하고, 주요 해수욕장(약 60개소) 대상으로 개장 전 현장 점검을 할 예정이다. 시·군·구 해수욕장 관계관 회의(6월 2일∼6월 9일)를 통해 보완 방안을 마련하고,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해수욕장 운영대응지침을 탄력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관할 보건소 주관하에 해수욕장 종사자 대상 코로나19 감염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정부는 해수욕장 이용 시 생활 속 거리 두기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독려할 예정이다. 이용객 분산을 위해 대형 해수욕장 보다는 중·소형 해수욕장 이용을 권고하고 이용할 수 있는 해수욕장에 대해 안내할 계획이다. 해수욕장 이용 시 기업, 학교, 종교단체, 지역 동호회 등 단체방문을 자제하고, 가족 단위 이용을 권장한다. 백사장과 물놀이 구역 등에서 생활 속 거리 두기 지침을 실천해야 한다. 백사장에서는 햇빛 가림 시설은 2미터 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과도한 음식물 섭취는 자제해야 한다. 물놀이 시를 제외하고 마스크를 사용하고, 샤워시설 이용 시에는 한 칸 떨어지기, 관리사무소 등 다중이용시설 방문 시에는 발열검사, 손 소독, 방문기록 작성 등의 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물놀이 구역에서는 침 뱉기 자제 등 타인을 배려하며 해수욕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종사자들은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방역 노력을 강화하고, 개인위생과 소독을 철저히 하며 상황 발생 시 행동요령을 숙지해야 한다. 3. 생활 속 거리 두기 이행 상황 및 점검 현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생활 속 거리 두기 이행 상황을 점검했다. 5월 31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음식점·카페 1,310개소, ▲결혼식장 77개소 등 총 16,606개 시설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 마스크 미착용, 발열체크 미흡 등 방역수칙을 위반한 136건에 대해 행정지도 했다. 특히 전라남도는 결혼식장·종교시설 등 88개소를 점검하고 출입명부 작성 미흡 등 5건에 대해 행정지도를 했다. 아울러 중앙합동점검을 통해 종교시설 11개소, 유원시설 2개소, 유흥시설 31개소 등 총 59개 시설을 점검했다. 점검과정에서 종교시설에는 소모임 등 자제를 요청하였고, 유원시설에는 공동 이용시설 소독을 철저히 할 것을 안내했다.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3,904개소를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경찰·식품의약품안전처 합동(178개반, 654명)으로 심야 시간(22시∼02시) 특별점검을 했다. 점검 결과 2,538개소가 영업 중지 중임을 확인하였으며 영업 중인 업소 1,366개소 중 마스크 미착용 등 방역수칙 위반 시설 12개소에 대해서는 즉각 현장 조치했다. 현재 15개 시·도 15,985개소의 유흥시설에 대한 집합금지 조치가 시행 중이며, 어제(5월 31일)까지 위반업소 80개소를 적발하여 67개소는 고발했고, 11개소는 고발할 예정이다. 4. 자가격리자 관리 현황 및 관리 방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 회의에서 자가격리자 관리 현황 및 관리방안을 점검했다. 5월 31일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37,812명이고,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28,924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8,888명이다. 3,725명이 신규 자가격리 대상자로 등록되고, 2,114명이 해제되어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1,611명이 증가했다. 어제(5월 31일)는 무단이탈자 1명이 격리장소를 이탈하여 유흥주점을 방문한 사례가 적발되어 고발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안심밴드를 착용한 사람은 총 82명이며, 이 중 70명은 자가격리가 해제되어 현재 12명이 안심밴드를 착용하고 있다. 아울러 해외입국자나 거처가 없는 자가격리자를 대상으로 84개소 2,843실의 임시생활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1,034명이 입소하여 격리 중이다. |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