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검사로 전산증 위험 예측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혈액 검사로 전산증 위험 예측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4-10-28 11:45 댓글0건

본문

 

fda605e9fc08488e01003044b22c0dd0_1730083

 


FAR 높은 여성, 발병 위험 최대 41% 높아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여성의 전산증(전자간증, Preeclampsia) 위험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산증은 임신 후반에 일어나는 독소혈증으로 혈압 상승, 부종(浮腫), 단백뇨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피브리노겐-알부민 비율(FAR)이 높은 여성은 전산증을 발병할 가능성이 최대 41% 더 높으며, 이러한 단백질은 여성이 출산을 위해 병원에 도착했을 때 시행하는 표준 혈액 검사에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 마취과학회 연례 회의에서 여성이 출산을 위해 병원에 입원할 때 두 가지 혈액 단백질(피브리노겐과 알부민) 수치를 살펴보면 전산증에 걸릴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연구팀은 피브리노겐-알부민 비율(FAR)이 높은 여성의 경우 전산증 발병 위험이 최대 41%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수석 연구원으로 뉴욕시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의대의 루시 샹 박사는 "이번 연구는 FAR이 마취과 의사와 산부인과 의사가 병원에 ​​입원했을 때 분만하는 산모의 전산증 발병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예측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강조했다.

 

연구에 따르면 임산부의 5~10%가 전산증을 앓는 것으로 아려지고 있다.

 

전산증의 합병증에는 조산, 출혈 문제, 신장 및 간 손상, 발작 또는 뇌졸중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임신부와 아이의 생명이 모두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연구팀은 피브리노겐은 혈액 응고와 염증에 관여하고, 알부민은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 호르몬, 비타민, 효소를 신체 전체로 운반한다고 밝혔다.

 

두 단백질 모두 전산증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브리노겐 수치가 상승하고 알부민 수치가 떨어질 수 있다.

 

연구팀은 더 높은 FAR 수치는 종종 염증, 감염 또는 심각한 건강 문제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FAR가 높을수록 우려도 커진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2018년에서 2024년 사이에 출산한 2,600명 이상의 여성에 대한 기록을 분석했는데, 이 중에는 경미한 전산증이 있는 여성 584명과 중증 전산증이 있는 여성 226명이 포함되었다.

 

중증 전산증에는 160/110 이상의 혈압과 심한 두통, 간 효소 상승, 시각 장애, 혈소판 감소 또는 신장 기능 장애를 포함한 장기 손상 징후가 포함된다.

 

연구팀은 “FAR에 대해 보편적으로 확립된 정상 값은 없으며, 0.05에서 1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이 경우, FAR0.1 이상인 여성은 자간전증 위험이 24% 증가했다. FAR0.3 이상인 여성은 자간전증 위험이 41%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의사들이 전산증 위험이 있는 여성을 위해 특별한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혈압을 더 자주 측정하고, 체액 수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통증 관리를 위해 조기에 경막외 마취를 실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샹 박사는 이 비율을 모든 임산부를 대상으로 평가해야 하며, 특히 흑인 여성, 고혈압 여성, 비만 여성 등 전산증 위험이 높은 그룹에 속하는 임산부의 경우에는 더욱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한 이번 연구 결과 흑인 여성이 백인 여성보다 전산증을 겪을 가능성이 60% 더 높고, 사망하거나 신장 손상과 같은 심각한 결과를 겪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

 

샹 박사는 "FAR의 정확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조기에 전산증을 식별하기 위한 예측 도구로 일상적인 산전 관리에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