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일자목증후군 환자 30만 명 ↑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최근 5년간 일자목증후군 환자 30만 명 ↑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2-26 17:10 댓글0건

본문

 

작년 진료환자 269만 6천 명…男116만 3천 명,女153만 3천 명
image001_42.bmp
2011년~2016년 ‘일자목증후군’ 질환으로 진료 받은 전체인원은 2011년 239만 7천 명에서 2016년 269만 6천 명으로 늘어 연평균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일자목증후군은 목을 길게 빼는 자세 때문에 정상적인 경추만곡인 C자 형태의 경추 정렬이 소실되어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2016년 기준, 총 진료인원은 남성 116만 3천 명, 여성 153만 3천 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은 인구 10만 명당 6069명, 남성은 인구 10만 명당4559명으로 인구수를 고려하여도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또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50대(64만 3천 명, 23.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56만 5천 명, 21.0%), 30대(41만 2천 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50대(24만 8천 명, 21.4%)가 가장 많았고, 40대(23만 9천 명, 20.6%), 30대(20만 2천 명, 17.4%) 순이며, 여성은 50대(39만 4천 명, 25.7%)이 가장 많았고, 40대(32만 5천명, 21.2%), 60대(23만 5천 명, 15.3%) 순이었다. 

이장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일자목증후군은 잘못된 자세와 동작이 원인이 되고 이러한 요소들이 장기간 축적되어 골격의 변형까지 일으키는 질환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게 된다” 며 “게다가, 나이가 들면서 목 주변 근육의 근력이 약해지고 척추에도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통증에도 취약하게 된다. 하지만 근래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 되면서 발생 연령이 점차 젊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교수는 이어 “목 부위 통증뿐 아니라 두통이나 어깨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고, 나이가 들면 구조물들의 비가역적 변화를 야기하고 통증은 더 심해질 수 있다. 또한 목 척추나 디스크 등의 퇴행성 변화를 초래하여 추간판탈출증이나 심한 경우 경추척수증과 같은 신경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윤영기자]sweets1019@naver.com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