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췌장, 스포츠 활동중에도 안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1-03 17:30 댓글0건본문
스키캠프 참여한 제1형 당뇨 청소년 대상 연구 | |||||||||
연구팀은 5일 동안 스키 캠프에 참여한 제1형 당뇨병 청소년 32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청소년들은 슬로프에서 하루에 약 5시간 동안을 보냈다. 그들의 절반은 인공췌장을 이용했고, 나머지는 일반적인 인슐린펌프를 착용하고 개방 루프 시스템(open-loop system)을 이용하여 스스로 인슐린을 투여했다. 그 결과 인공췌장의 경우 해당 청소년들의 혈당 수치가 건강한 영역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약 71%였던 데 비해, 개발 루프 시스템을 이용한 청소년들에서는 그 수치가 65%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는 Diabetes Care 2017년도 12월 21일자 온라인 판에 보고했다. 위험한 수준의 저혈당도 인공췌장에서 보다 덜 발생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미국 버지니아대학교 당뇨병기술센터의 마크 브레튼 박사는 “인슐린 펌프를 이용하는 모든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은 자신의 활동성과 관계없이 아주 진지하게 인공췌장의 이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브레튼 박사는 “인공췌장은 운동을 많이 하더라도 잘 작동할 것이며, 운동을 하고 있거나 운동을 한 후에 혈당 조절하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더라도 인공췌장의 자동화로부터 이득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궁극적으로 이 시스템은 과거에는 회피했을 것 같은 운동에 안전하게 참여하는 자유를 당뇨병 환자들이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인공췌장 시스템은 수초마다 혈당을 감시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인슐린 전달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방 루프 시스템보다 운동에 참여하는 환자들에게 더욱 편리할 수 있다. 개방 루프 시스템은 별도의 혈당 모니터에 나타난 수치를 근거로 펌프가 전달하는 인슐린의 양을 수동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 인공췌장의 경우 운동에 참여한 환자들에서 위험한 수준의 저혈당이 나타난 시간은 1.8%에 불과했다. 그에 비해 개방 루프 시스템에서는 그 수치가 3.2%로 나타났다. 위험한 수준의 고혈당도 해당 시간의 7%로 인공췌장에서 더 적었다. 개방 루프 시스템에서는 그 수치가 9.3%였다. 이번 연구는 규모가 작은 한계가 있다. 또한 위험 수준의 저혈당 병력이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도 한계일 수 있다. 연구 결과가 제1형 당뇨병을 가진 환자들에게 얼마나 많이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청소년들은 평소 일상생활과 달리 의사들의 집중 감시를 받기도 했다. |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