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소 조산아에 지속혈당감시 “탁월”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극소 조산아에 지속혈당감시 “탁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9-19 17:31 댓글0건

본문

 

저혈당ㆍ고혈당 위험 줄이고 정상혈당 유지 효과적
baby-1681181__340.jpg
극소 조산아에서 지속혈당감시(CGM)를 통해 이루어지는 당 투여와 당 주입을 조절하는 컴퓨터 기반 알고리듬이 간헐적인 표준 혈당감시보다 정상 혈당 유지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또한 CGM을 통한 당의 적정(titration)은 저혈당과 고혈당 위험을 줄이고 당의 변동성을 줄였다고 이탈리아 파도바대학교의 알폰소 갈데리시 박사팀이 보고했다. 

갈데리시 박사팀은 Pediatrics 온라인 판 9월 15일자 보고에서 “극소 조산아의 혈당조절 손상은 유병률과 사망률, 불량한 신경과적 예후를 증가시킨다, 지금까지 엄격한 혈당조절을 보장해주는 효과적인 당 주입 방법은 없다”고 밝혔다.

갈데리시 박사팀은 임신 32주 이전에 태어났거나 출생시 체중이 1,500 미만인 신생아 5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시험을 실시했다. 출생 48시간 내에 연구팀은 해당 신생아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한 그룹은 혈당조절이 CGM과 컴퓨터 유도 당 주입 알고리듬에 의해 이루어졌고(UB-CGM 그룹), 다른 한 그룹은 혈당주입이 표준 혈당측정기를 통해 이루어졌다(B-CGM 그룹). 

UB-CGM 치료군에 속한 조산아들은 대조군에 속한 조산아들보다 정상혈당 범위에 속하는 시간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더 높았다(중앙값 84% 대비 68%). 또한 심각한 저혈당과 심각한 고혈당에 빠지는 시간도 의미 있게 더 적었다.

또한 CGM 유도 당 적정은 혈당 수치에서 대조군보다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더 낮았다(변동계수, 22.8% 대비 27.9%).

갈데리시 박사팀은 “조산아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은 대개 고혈당 관리를 위해서 인슐린 투여에 초점을 두었으며, 인슐린 주입 속도 조절을 유도하는 조절 알고리듬과 CGM을 분명하게 연계시킨 바 없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그와 달리 우리는 당 적정을 유도하는 조절 알고리듬에 CGM을 연계시키는 것만으로 이런 조산아들에서 인슐린 없이도 당 조절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음을 부각시키고 있다. 더욱이 극소 조산아에서 성장을 유지해줄 충분한 영양을 줄이지 않고도 그렇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연구팀은 당 주입 속도를 신속하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당 섭취와 체중 증가를 유지하면서도 저혈당과 고혈당을 모두 예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장기간의 임상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규모가 큰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 사용한 지속혈당감시 기구들은 덱스콤(Dexcom Inc.)이 제공했으나, 연구에는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