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인구 10명 중 1명은 ‘고지혈증’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60대 인구 10명 중 1명은 ‘고지혈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8-22 11:16 댓글0건

본문

전체 환자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아
고지혈증 환자수가 2012년 122만 명에서 2016년 177만 명이 증가했으며 남성보다 여성이 1.5배 더 많았다. 특히 60대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고지혈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고지혈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

분석결과 고지혈증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2016년 177만 명으로 2012년 122만 명 대비 44.8% (55만 명) 증가했다. 또한,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 9.7%로 나타났다. 

2016년 진료비 지출은 3,745억 원으로 2012년 2,327억 원 대비 60.9%(1,418억 원) 증가하여, 연평균 12.6% 증가율을 보였다. 입・내원일수는 2016년 559만 일로 2012년 369만 일 대비 51.4%(189만 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고지혈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60대로 9,702명이었다. 뒤이어 70대 7,450명, 50대 7,175명 순으로 중⦁장년층의 인구대비 고지혈증환자 수가 많았다.

진료인원의 최근 5년간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2016년 전체 평균 3,503명으로 2012년 2,474명 대비 41.6%(1,029명) 늘었다. 

특히, 10대 연령대의 진료인원을 분석해보면, 2012년 144명에서 2016년 210명으로 66명 증가에 불가했지만, 최근 5년간 45.9%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연평균 증가율도 약 1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연령에서 매년 10%에 가까이 ‘고지혈증’ 진료인원이 증가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0대에서 매년 10%에 근접하게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서구식 생활 습관과 함께 건강 검진 등으로 예전보다 고지혈증에 대한 검사가 보편화되어 과거에 진단되지 않았던 젊은 환자들이 진단되고 있는 점을 꼽았다.

또한 2016년 전체 진료인원 177만 명 중 남성 진료인원은 70만 명, 여성 진료인원은 107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1.5배(약 37만 명↑) 더 많았다.

성별 진료비 지출현황을 분석해보면, ‘고지혈증’ 질환으로 여성이 2,333억 원, 남성이 1,411억 원 지출하여 여성이 남성의 1.7배(약 922억 원↑) 더 많이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부터 40대까지는 ‘고지혈증’으로 인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 진료인원보다 더 많았다. 이는 남성대비 여성 진료인원 비율에서도 나타나는데, 특히 30대의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60대에서 10만 명 당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의 약 두 배였다.

30대부터 60대까지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이 계속 증가하는데, 특히 60대 여성은 100명중 13명이 ‘고지혈증’을 앓고 있어 60대 연령대에서 성별을 불문하고 인구구성 대비 가장 많이 고지혈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로 40대와 50대를 비교해 보면, 남성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40대 3,702명에서 50대 5,095명으로 1,393명(1.4배) 늘어난데 비해, 여성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40대 2,596명에서 50대 9,277명으로 6,681명(3.6배) 늘었다. 중년여성이 40대에서 50대로 이행되는 시기에 인구 10만 명 당 ‘고지혈증’ 진료인원 증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여성들의 건강관리가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윤영기자]sweets1019@naver.com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