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브라딘’, POTS질환에 효과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이바브라딘’, POTS질환에 효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9-03 14:16 댓글0건

본문

 

3c4ac3eb65871e6972c18f74e1ef283b_1756876

 

심부전 치료제환자 심박수 급증 억제

 

어떤 사람들은 서 있을 때 심장이 쿵쾅거리고, 현기증이 나고, 머리가 어지러움을 느낀다고 한다. 이는 자세성 기립성 빈맥 증후군(Postural orthostatic tachycardia syndrome, POTS)이라는 희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최근 시범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바브라딘(ivabradine)이라는 기존의 심부전 치료제가 POTS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완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ournal of Cardiovascular Pharmacology 최근호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이 약이 POTS 환자의 심장이 두근거리는 것을 막았고, 전반적인 혈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다른 증상도 크게 개선했다고 보고되었다.

 

미국 버지니아대학교 심장내과 의사이자 수석 연구원인 Antonio Abbate 박사는 보도 자료를 통해 "이러한 데이터는 심박수의 부적절한 증가가 환자가 메스꺼움을 느끼는 정확한 이유이며, 혈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물로 심박수를 낮추면 삶의 질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배경 보고서에서 POTS는 드물게 나타나며 전체 인구의 1% 이하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TikTok과 기타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되고 있으며, 많은 환자들이 POTS의 정확한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아 진단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바브라딘(콜라노르)은 심부전 악화를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 이 약물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영향을 미쳐 심박수를 늦추는 작용을 한다.

 

연구팀은 POTS의 주요 특징이 심박수가 급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바브라딘이 일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POTS 환자 10명에게 이바브라딘을 투여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28세였고, 10명 중 8명은 여성이었다.

 

연구 결과, 이바브라딘을 투여 받은 환자는 일어선 후 심박수를 더 잘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으로 치료하기 전에는 일어서 있을 때 심박수가 분당 평균 40회 증가했지만 이바브라딘 복용 후에는 분당 15회만 증가했다. 실신감이 69%, 흉통도 66% 감소했다.

 

Abbate 박사는 이러한 전반적인 개선은 급증하는 심박수가 POTS의 다른 증상을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서 있는 것이 POTS 환자에게 과도한 싸움-도피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의 방출을 유발하여 심장이 두근거리게 만드는 것으로 추정했다.

 

Abbate 박사는 "서 있을 때 심박수를 조절하는 기전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심박수가 과도하게 증가하고, 뇌는 이를 '위험' 신호로 감지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을 추가로 분비하고 불안 및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한다."면서 "이바브라딘으로 심박수를 조절하면 이 루프가 억제되어 환자의 기분이 좋아진다."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고 POTS의 원인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한때는 저혈압에 따른 보상 기전으로 여겨졌지만, 높은 심박수 자체가 증상의 원인일 수 있다. 심박수가 어떻게 조절되고 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더 잘 이해하면 POTS 환자를 위한 더 나은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