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벼랑 끝에서 희망을 이야기하다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인생의 벼랑 끝에서 희망을 이야기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1-17 16:12 댓글0건

본문

복지부, 자살예방 현장 실무자 에세이 공모·선정
#. K를 처음 만났을 때, 묻는 말에만 겨우 대답하며 자포자기한 모습을 보이던 그의 앳된 얼굴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종갓집 장손으로 태어나 가족의 사랑과 관심을 한 몸에 받으며 자라난 그는 소방관이 되는 꿈을 이루기 위해 모 대학 소방행정학과에 입학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의무소방병으로 입대 후 군에서의 가혹행위로 우울감과 자살충동에 시달리게 되었고 급기야 휴가를 나온 것을 계기로 가족들이 알게 되어 정신과 입원치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두 달 간의 정신과 입원에도 불구하고 그의 심리적 상처는 좀처럼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대인관계를 기피하고 119 사이렌 소리만 들어도 도망치고 어린 시절 선망의 대상이었던 119 소방대 제복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끝까지 군복무를 마치지 못한 자책과 절망감으로 하루에도 몇 번씩 자살충동에 시달렸습니다.

정신건강증진센터는 상담과 사례관리를 통해 K가 분노감을 표현하는 등 정서적 회복과정을 밟고,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자신의 강점을 찾도록 도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군법재판에도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회복되고 의가사제대와 치료비 보상 등을 받게 되었습니다. 인내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개입한 결과 K는 치료받던 안내 데스크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자신을 도와 준 저를 따라 정신보건간호사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되었습니다.

너무 높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다시 좌절할까 염려하는 어머니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다시 대입시험을 보고 원하던 대로 간호학과에 당당하게 입학하였습니다. 지금은 학교생활에도 잘 적응하여 장학금을 받게 되었다고 합니다.

저는 5년 가까이 자살예방 업무를 담당하며 1년에 100명이 넘는 서로 다른 절망과 마주하면서, 많이 힘들고 미처 막지 못한 죽음으로 자책할 때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K와 같은 경우를 보며 큰 보람을 느끼고 다시 한 번 업무에 매진하게 되는 용기를 얻습니다. <우수상, 의정부정신건강증진센터 김은순氏 에세이를 재구성>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인생의 위기를 극복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삶의 희망을 전하고 자살예방 사업 현장 실무자들의 노고를 격려하는 취지로 자살예방 수기를 공모해 총 14편을 선정했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225개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현장 실무자를 중심으로 자살예방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 키퍼 교육, 자살예방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자살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속적인 사례관리, 자살예방 상담 등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사례들은 현장 실무자들이 자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직접 찾아가서 정신보건서비스와 상담을 제공하고 복지서비스 등을 연계하여 절망을 극복하도록 도운 내용이다.

대상을 수상한 전북 익산시정신건강증진센터 한아름(29세)氏는 버거씨 병으로 왼쪽 다리를 절단하게 되면서 삶의 의지를 잃고 자살을 시도한 박한국(가명, 男, 60세)氏를 지원했다.

그는 고아원에서 어렵게 자라 원양어선 선원으로 성실하게 살아가던 중이었으나 다리 수술 후 수차례 자살을 시도하고 술과 담배로 세월을 보내고 있었다.

한아름氏는 박한국氏를 지속적으로 방문·상담하고, 그가 건강한 삶을 회복할 수 있도록 시청 복지부서와 연계하여 바우처 서비스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했다.

여러 차례 술과 약을 과다하게 복용하여 119를 출동시키곤 했던 박한국氏는 술·담배를 줄이고 기원에서 바둑을 두는 등 삶의 의지와 사회적 관계를 회복해 가고 있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대국광역시정신건강증진센터의 김혜영(31세)氏는 남편의 자살로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던 김영주(가명, 女, 31세)氏의 사례를 제출했다.

김영주氏는 남편의 사망 후, 겉으로는 이전과 다름없이 직장생활을 하고 있었지만 죄책감, 우울, 두려움 등 여러 가지 복잡한 감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는 처음 정신건강증진센터를 방문했을 때 우울증으로 정신과치료를 받고 회복을 위해 휴직을 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으나, 지속적인 상담과 유가족 프로그램 참여로 점차 안정을 되찾았다.

상담 진행 1년 6개월 후에는 자살예방 게이트 키퍼 교육을 수료하고, 현재는 자살유가족을 돕는 동료상담가로서 활동하는 중이다.

복지부는 이 외에도 사업의 실패나 경제적 어려움, 학교나 군대에서의 괴롭힘, 배우자의 외도나 가정불화 등으로 자살위험에 처한 사람들이 정신건강증진센터의 개입과 지원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된 총 14편의 사례를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차전경 과장은 “이번 수기공모를 통해 정신건강증진센터 자살예방 사업 실무자들의 노고를 새삼 느끼게 되었다”며, “최근 자살률 감소 추세는 생명을 살리고자 하는 현장 실무자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희생으로 말미암은 것이라 생각한다.”고 심사소감을 밝혔다.

우리나라 10만명당 자살률은 2015년 기준 26.5명으로 OECD 평균(12명)의 2.3배를 넘는 수준이지만 2011년 31.7명을 기록한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