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CT장비 40% 방사선노출량 표시 안돼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국내 CT장비 40% 방사선노출량 표시 안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9-26 16:44 댓글0건

본문

CT검사 방사선노출량 허용량의 10배

김승희 의원 “환자 방사선 피폭 안전관리 방안 필요


 


국내에서 쓰이는 컴퓨터단층촬영(이하 CT)검사 장비 10대 가운데 4대 가량(40%)은 검사를 받은 사람이 방사선에 얼마나 노출됐는지 파악조차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내부 구조를 자세히 볼 수 있는 방사선촬영장치인 CT 검사를 받으면 방사선노출량이 많게는 10mSv(밀리시버트)가 넘어 한번만 찍어도 일반인에게 허용되는 한해 방사선 노출량인 1mSv에 견줘 10배 이상 노출될 수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승희 의원(새누리당)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기준 국내에 설치된 시티 장비 2005대 가운데 약 43%868대가 방사선량 표시를 할 수 없는 기종인 것으로 파악됐다.


 


의료기관 규모별로 보면 종합병원 이상급의 시티 장비 가운데에는 12%, 병원급 시티 중에는 51%가 방사선량 표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의원급에 설치된 시티 장비 579대 가운데에는 66%에 해당되는 382대가 방사선량 표시를 할 수 없었다.


 


보통 전신 CT 촬영검사를 받으면 검사를 받는 환자는 1225mSv, 복부 및 골반 쪽을 찍으면 10mSv, 가슴 쪽은 910mSv의 방사선량에 노출된다. 이는 원자력안전법 시행령에서 일반인에게 허용되는 한해 인공방사선 노출량인 1mSv보다 최대 10배 이상 높은 수치다.


 


김 의원은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시티 장비는 촬영 즉시 환자가 노출된 방사선량이 표시되는데, 예전에 나와 노후된 장비는 방사선량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방사선량 표시가 되지 않는 기종은 방사선량 측정 장비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선량 추정치만으로 환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추정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조사 이후 수년이 지나 노후 장비가 일부분 교체됐을 가능성이 있지만 장비가 수십억에 이르는 고가여서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라며 방선량표시 및 관리가 되지 않는 시티 장비의 관리방안과 함께 환자의 방사선 피폭 안전관리를 위한 별도의 규정도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