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작은 습관이 평생 건강 좌우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생활 속 작은 습관이 평생 건강 좌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5-09-17 09:09 댓글0건

본문

919c62fdb8f25baa64b29ed5da78e373_1442448 

- 근거리 사물만 보는 습관, 시력 저하 및 근시 유발로 안질환의 원인 될 수 있어
- 전자기기 사용시 올바른 자세 중요. 자세만으로도 거북목, 일자목 예방 가능해
- 한 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습관은 안면비대칭 유발 할 수 있어 주의해야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처럼 한 번 생긴 버릇은 고치기가 어렵다. 이 버릇이 건강과 연결될 경우 평생의 건강을 좌우할 수도 있다. 작은 습관과 버릇은 당장은 눈에 띄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 신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좋은 습관을 갖고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근거리에서 스마트폰, PC 등을 장시간 보는 습관은 안구의 운동력을 떨어뜨려 시력을 빨리 저하시킬 수 있고, 올바르지 않은 자세는 척추를 변형시켜 성인이 됐을 때 거북목, 일자목 등 척추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평소 생활 속에서 건강을 저해하는 작은 습관들을 살펴보고, 건강한 신체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근거리 사물만 보는 습관, 시력 저하 및 근시 유발해 안질환의 원인 될 수 있어

사람의 눈은 보통 만 18세에 성장을 마친다. 따라서 이 시기가 되기 전 안구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눈이 한창 성장하는 소아기 때 가까운 곳만 보게 되면 안구 근육이 골고루 발달하지 못하고 안구의 운동력이 떨어져 근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근거리만 보게 되면 각막 및 수정체가 근시의 모양에 익숙해져 그 상태로 굳어지게 되는 것. 특히 최근 성장기 아이들은 유아시절부터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접하기 때문에 시력 활동의 다양성이 없어지고 소아근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한창 눈이 성장하는 소아기 때부터 눈 건강에 바람직한 생활 습관을 갖도록 주의해야 한다. 장시간 책이나 컴퓨터를 볼 때는 30~40분 단위로 약 2~3분 정도 먼 곳을 보며 눈의 초점을 조절해주고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구 근육이 굳어지지 않도록 가벼운 마사지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김희선 원장은 “근시가 심해질 경우 황반병성과 같은 안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성장기 때 눈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아이에게 근시 증상이 나타난다면 더 이상 악화되지 않게 즉시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 전자기기 사용시 올바른 자세 중요. 자세만으로도 거북목, 일자목 예방 가능해

전자기기가 발달하면서 요즘은 어려서부터 휴대폰과 PC를 사용한다. 아이들은 특히 휴대폰과 PC 게임에 쉽게 빠져 전자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올바르지 않은 자세는 척추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작은 화면을 보기 위해 허리나 목을 많이 굽히고 이러한 자세가 습관적으로 굳어지면 성인이 된 후 거북목과 일자목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목 디스크나 퇴행성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어려서부터 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거북목, 일자목은 목과 어깨가 결리고 딱딱하게 굳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목을 뒤로 젖혔을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의심해보아야 한다. 중기에는 목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뒷목이 굵어지게 되는데, 거북목과 일자목 증상이 심각해지면 경추질환의 직접적인 원일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척추 질환은 평소 자세를 똑바로 하고 초기에 교정한다면 대부분 수술 없이도 치료가 가능하다. 따라서 거북목 및 일자목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방문해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소에는 전자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습관을 자제하고, 스마트폰, PC와의 거리를 30cm 이상 유지하는 것이 목과 척추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다.

■ 한 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습관은 안면비대칭 유발 할 수 있어 주의해야

식사를 할 때 무의식 중에 한 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어린 시절 습관이 성인까지 이어진 경우가 많은데, 얼핏 보면 큰 문제로 보이지 않지만 치아 건강에 굉장히 해로울 수 있다. 지속적으로 특정 치아로만 음식을 씹으면 잇몸질환의 발생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치아를 소실할 위험이 함께 높아진다. 또한 자주 쓰는 치아보다 그렇지 않은 치아가 더 깨끗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오히려 세균감염에 노출되기 쉽다. 음식물을 섭취할 때 식이섬유와 같은 음식물이 치아를 닦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자주 쓰지 않는 치아는 그렇지 못해 치아 사이에 음식 잔여물이 잘 끼고 이로 인해 치태가 쉽게 발생하게 되는 것. 게다가 한 쪽 치아로만 씹는 것이 장기간 습관으로 발전하면 턱 관절 에 이상이 생겨 입을 잘 벌리지 못하고 안면비대칭까지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오랜 시간 동안 한 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습관을 갖고 있는 사람은 치아와 턱 관절 등에 이상이 없는지 검진을 받고, 양 쪽 치아를 골고루 사용해 음식을 먹는 습관을 갖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현지 기자] munandpil@nate.com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