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이어 '신종바이러스' 출현우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5-06-16 09:04 댓글0건본문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 '열대성 풍토병' 유입전망 | |||||||||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에 대한 정보 공개 지연과 함께 방역정책 실패로 감염자·사망자 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가 한반도 기후의 아열대화 등의 원인으로 메르스와 같은 고병원성 신종 바이러스 전염병이 계속 출몰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특히, 보건·의료 R&D(연구개발) 예산이 '경제성·유행성' 논리에 발목이 잡혀 지연되거나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관련 질병의 조기진단 및 백신·치료제 등이 개발되지 않는 등 실효성 있는 대응책이 없는 실정이라는 지적이다. 15일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매개질환 해외유입 가능성 증대 △아열대화로 인한 열대성 질병 확산 △다양한 변이에 의한 신종 출현 △모기 개체 수 증가 및 서식지 확산 등으로 '웨스트나일열', '치쿤쿠니아열', '댕기출혈열' 등 열대성 희귀 풍토병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메르스 감염자·사망자 수가 전 세계 2위에 오를 정도로 걷잡을 수 없었던 데는 미숙한 초동대응과 함께 △인구 노령화와 만성질환자로 인한 기회감염(2차 감염) 증가 △신도시 개발 등 인구밀집으로 전염 가능성 증가 △미생물 적응력 증가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게 융합클러스터의 분석이다.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는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통합 지원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으로 신종질병 바이러스(제1분과, 32명), 슈퍼박테리아(제2분과, 27명), 신규기전 항바이러스제·항생제(제3분과, 28명), 진단키트 및 장비개발(제4분과, 30명) 등 출연연(8개)·대학(5개)·산업체(2개)·관(2개) 등 총 17개 기관에 총 117명이 모여 작년 말 출범했다. 국내외 신종 질병 동향을 분석해 실현 가능한 감염병 대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기획을 추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는 무엇보다 전염병 감염자가 매해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 외래 신종 감염병 대응능력은 매우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융합클러스터 관계자는 "보건·의료 R&D 예산이 '경제성·유행성' 논리에 발목이 잡혀 지연되거나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식의 '고무줄 편성' 때문"이라고 밝혔다. 백신 개발에 드는 막대한 비용에 비해 수익성이 낮다 보니 정부의 R&D 투자가 소극적으로 이뤄졌다는 게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 측의 진단이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의 '신종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사업' 관련 예산은 2007년 153억원에서 올해 34억원으로 대폭 삭감됐다. 정부의 지난해 전체 보건의료 R&D 예산은 5981억원으로, 이 중 감염병 관련 예산은 286억원(4.7%)이었다. 아울러 전염성 높은 바이러스를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차폐시설(Biological safety level·BSL) 4등급 시설이 없어 임상연구 자체가 힘든 점도 문제다. 위험도 최상위 등급인 에볼라 바이러스 등을 연구하고 다루려면 BSL 4등급 시설을 갖춰야 한다. 김범태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단장(한국화학연구원 박사)는 "세계화·도시화·인구노령화 등의 사회 변화가 전염병 확산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라며 "향후 더 많은 신종감염병 창궐이 예상되는 만큼 산·학·연·관 전문가가 모두 나서서 기술력·인프라·지식정보 등을 모두 공유하고, 대응 기술을 개발·보급하는 데 힘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현 원광대의대 인수공통감염병 연구소 교수는 지난 4월 30일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열린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 제2차 교류회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말라리아 감염병 신속진단용 신소재 개발과 성능평가'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인수공통감염병이란 사람과 동물 사이에 옮겨지는 모든 질병을 총칭하는데, 숙주가 사람이 아닌 경우 완전 박멸과 치료제 개발은 쉽지 않다"며 "이러한 인수공통감염병은 MERS, influenza virus, SARS, Ebola 등 다변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구증가, 도시화, 세계여행 증가, 동물 수송과 이동 증가. 교통 발달만큼 빨리 확산되고 있다"며 "자연계에 있는 보유 숙주들이 언제든지 사람, 동물에게 감염될 수 있는 만큼 위협요소도 크다"고 경고했다. |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