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과 치료 25%가 전립선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3-06-07 11:58 댓글0건본문
전립선염의 정의, 증상, 원인 및 치료 | |||||||||
전립선암 재단(Prostate Cancer Foundation)에 따르면 전립선암은 남성의 요로 감염의 주요 원인이며, 사실, 모든 남성의 절반이 언젠가는 전립선염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 국립 보건통계센터는 비뇨기과 문제로 치료를 받는 남성의 약 25%가 전립선염 증상을 보인다고 밝히고 있다. 최근 HealthDay News는 전문가들은 의견을 들어 다양한 유형의 전립선염에 대한 원인, 일반적인 증상 및 가능한 치료법을 소개하고 있다. ▲전립선염이란? 전립선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인 전립선염은 빈번하고 종종 쇠약해지는 통증으로 알려져 있다.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감염, 염증 및 통증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복잡한 상태를 말한다. 두 가지 유형의 전립선염은 요로 감염(UTI)과 관련이 있으며, 나머지 유형은 감염성 기원을 알 수 없다. 유형에 관계없이 전립선염은 일반적으로 환자가 느끼는 심한 통증으로 인식되며 이는 남성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립선염의 종류 미국 국립 당뇨병 및 소화기 및 신장질환 연구소에 따르면 전립선염에는 4가지 유형이 있으며 각각 고유한 특징이 있다. -만성 전립선염 또는 만성 골반 통증 증후군: 이 전립선염은 점진적으로 시작하여 몇 주 동안 지속되는 증상이 특징이다 . 또한 빈뇨, 절박뇨, 방광 비우기 어려움과 같은 배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전립선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골반 부위의 심한 통증, 열, 오한 및 배뇨 곤란으로 갑자기 시작된다. 방광 폐쇄 또는 면역 저하 상태와 관련이 있다.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급성 형태와 달리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장기간에 걸쳐 재발할 수 있는 지속적인 감염이다.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과 증상을 공유하지만 경미한 통증과 불편함이 특징이다. 만성 세균 감염이 만성 전립선염 사례의 적잖은 비율을 차지한다. -무증상 염증성 전립선염: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전립선염이 있는 남성은 아무런 증상도 경험하지 않는다. 다른 요로 또는 생식관 장애에 대한 검사 중에 우연히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다행히 무증상 염증성 전립선염은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전립선염 원인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 따르면 전립선염의 원인은 상태의 특정 유형에 따라 다르다. -만성 전립선염 또는 만성 골반 통증 증후군: 만성 전립선염/만성 골반 통증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박테리아 감염이 아닌 미생물이 상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급성 및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세균성 전립선염은 전립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감염은 박테리아가 요도(소변이 통과하는 관)에서 전립선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여 염증 및 관련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일반적으로 요로 감염과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세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립선염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메이요 클리닉의 비뇨기과 전문의인 Patricio Gargollo 박사는 “그러나 전립선염이 있다고 해서 성관계를 피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성관계는 전립선염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전립선염이 있는 일부 남성은 사정 시 통증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립선염 증상 전립선염에는 특히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때 남성의 일상생활과 웰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증상이 있다. Johns Hopkins Medicine에 따르면 전립선염과 관련된 몇 가지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잦은 배뇨 •배뇨곤란(배뇨 중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으로 불편하거나 고통스럽다.) •소변 흐름 감소 •직장 통증 또는 압박 •열과 오한 •허리 또는 골반 통증 •배변 중 요도 분비물 •발기 부전 또는 성욕 감소 •직장 또는 생식기 부위의 불편한 감각 또한 전립선염의 증상은 다른 의학적 상태나 문제의 증상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전문가들의 의학적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립선염 치료 전립선염 치료는 연령, 전반적인 건강 상태, 병력, 상태의 중증도, 특정 치료에 대한 개인의 내약성, 예상 기간 및 환자 선호도에 따라 결정된다. 특정 유형의 전립선염도 적절한 치료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립선염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증상 완화, 감염 제거(존재하는 경우), 염증 감소 및 전반적인 전립선 건강 개선을 위한 접근 방식의 조합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약물 •알파 차단제 •진통제 •물리 치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으로 권장되는 치료 유형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전립선염을 기반으로 한다. Johns Hopkins Medicine은 전립선염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 입원 시 정맥 항생제 투여 및 지지 요법 제공이 필요할 수 있다. 구강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감염을 제거하기 위해 입원 후 몇 주 동안 처방된다.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과 마찬가지로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지속적인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몇 주에서 몇 달까지 걸릴 수 있다. -만성 전립선염/만성 골반 통증 증후군: 치료는 증상 관리에 중점을 둔다.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 근육을 이완시키는 알파 차단제, 물리 치료 및 증상 완화를 위한 생활 습관 수정이 포함될 수 있다. -무증상 염증성 전립선염: 무증상 염증성 전립선염은 일반적으로 특정 합병증이나 근본적인 조건이 없는 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
[성인병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