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311~340)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골다공증 (311~340)

골다공증 (311~340) 목록

  1. 문311)사람의 뼈는 몇개쯤 됩니까?

    답)약 206개입니다. (두개골 22, 척추골 26, 상지골 64, 하지골 62, 이소골 6, 늑골 24, 흉골 1, 설골 1)

     

  2. 문312)전체 뼈의 무게는 얼마나 됩니까?

    답)체중의 10~18% 정도입니다.

     

  3. 문313)근육의 무게는 얼마나 됩니까?

    답)체중의 36~42% 정도입니다.

     

  4. 문314)지방의 무게는 얼마나 됩니까?

    답)정상인은 체중의 18~28% 정도입니다.

     

  5. 문315)골조송증(골다공증)이란 무엇입니까?

    답)사람이 늙어가면 단단하던 뼈가 바람든 무우처럼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그 결과로 등이나 허리가 아프고 굽어지고 키가 줄어드는 등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량의 감소는 일어날 수 밖에 없지만, 그에 더하여 골절이나 요배통 등의 임상 증상을 나타나게 되면 이것을 골조송증(골다공증)이라고 부릅니다.

    환자 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전 인구의 약 10%정도인 약 450만명으로 추정되며, 남성보다는 여 성에서 특히, 폐경기 후의 여성에 다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6. 문316)골조송증은 어떻게 우리 몸을 해치게 됩니까?

    답)골조송증이 문제가 되는 것은 뼈가 약화되는 현상이 진행되어 골절이 일어나기 쉬운 것이며, 또한 골절이 빈번하여 누워만 있을 수 밖에 없는 노인을 폐인으로 만든다는데 있습니다.

    골조송증은 그 자체가 직접 사인(死因)이 되는 질환은 아닙니다. 그러나 골조송증인 노인의 골 절은 낫기 어렵고 노인이 누워만 있으면 폐용성 위축이 초래되고 폐렴 · 비뇨기계 염증 · 욕창 등 의 감염증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그 예후가 나쁘며 마침내는 사망에 까지 이르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7. 문317)골조송증은 노화입니까? 질병입니까?

    답)골의 조송화(組頌化)는 나이가 듦에 따라 진행됩니다. 확실히 골량은 나이가 듦에 따라 생리 적으로 감소하는 것이지만, 그것과 골조송증이 동일한가, 다시 말하면 골조송증은 노화인가 질 병인가 하는 것이 문제됩니다.

     

  8. 문318)골조송증이 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납니까?

    답)대게 요통이 나타나면서 허리가 굽어지기도 하고 키도 작아지는데,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골 절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9. 문319)골조송증과 운동과의 관계는?

    답)폴리오 · 척수(脊髓)손상 · 뇌혈관 장애 등으로 마비된 환자가 누워만 있게 되면 약 2주 정도 가 지나면서 부터 골량이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또한 집에 있는 건강한 노인을,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사람과 거의 운동하지 않는 사람의 두 그룹 으로 나누어 골랴을 측정해 보면,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그룹쪽의 골량이 많으로 나누어 골랴을 측정해 보면,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그룹쪽의 골량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여성에 게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운동을 하게 되면 골아세포가 활성화 되어 골형성이 촉진된다고 말할 수 있겠는데, 그 기전(機 轉)이 확실히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다만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는 근육의 양이 많고 근육의 양 과 골량과의 사이에는 정비례하는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도 관여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0. 문320)골조송증(골다공증)과 영양, 특히 칼슘 섭취와는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답)예로부터 칼륨 섭취량이 적은 경우, 골조송증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칼슘 섭취량이 많은 경우에는 그 빈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외국의 데이터 중 칼륨 섭취량이 높은 직역 (1,200㎎/일)과 낮은 지역(600㎎/일)의 남녀에게서 골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면, 연령이 높아짐 에 따라 고칼슘 섭취 지역과 저칼슘 섭취 지역에서 골량이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우유를 매일 마시는 노인 그룹과 전혀 마시지 않는 노인 그룹의 골량을 비교해 보면 우유를 매일 마시는 그룹의 골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우유에는 다량의 칼슘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칼륨 섭취와 골조송증과의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칼슘 섭취 부족은 분명히 골조송증의 중요한 발생인자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습니다.

     

  11. 문321)골량의 감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답)현재 보통의 X선 사진으로는 척추의 골량이 30%이상 감소하지 않으면 판정할 수 없습니다. 근래에 들어서는 여러가지 좋은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골밀도 측정방법을 이용하면 골량의 감 소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습니다.
  12. 문322)골조송증(골다공증) 치료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답)첫째, 환자의 고통스러워하는 통증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골조송증의 통증에는 넘어짐으로 써 생기는 골절 및 척추체의 압박 골절 직후에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급성기와 약체화된 등뼈를 지지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등근육의 긴장이 생기고 그 결과 요배부에 심한 통증이 계속되는 만 성기가 있으며, 각각 이에 대응하는 치료법을 선택합니다.

    다음에 중요한 것은 골량 감소를 방지하고 골조송증에 의한 골절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골조송 증 자에서는 골량 l년에 4~5% 감소한다고 합니다. 정상적인 노인도 나이를 먹음에 따라 골감소 가 1년에 약 2%정도 진행되므로 정상 노인의 골감소 방지를 목표로 합니다.

    또한 골조송증에서는 작은 외부의 힘에 의해 골절을 일으키기 쉽게 되며 특히 고관절 부의 골절 은 골조송증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노인에게 이러한 골절이 일어나면, 장기간의 안정과 고정에 의해 여러 가지 합병증이 출현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절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나, 만일 골절이 일어나면 적극적인 수술요법을 고려하며, 가능한 한 조기에 몸을 움직이도록 지도하고 폐용성 위축, 정신혼미, 감염증 등을 막 도록 해야 합니다.

     

  13. 문323)골조송증(골다공증)의 약물치료는?

    답)골조송증은 앞서 밝힌 것처럼, 여러 가지 병인이 복잡하게 얽혀서 발병하는 질환이 므로 약 물치료도 단일 약물에 의한 것보다 몇 개의 약물을 병합해서 치료하는 경향입니다.

    앞으로 연구가 개발되어 골조송증의 병인 · 경과 등이 상세히 밝혀지면 여기에 맞는 약물의 선택 도 확실해질 것입니다.

     

  14. 문324)골조송증(골다공증)의 예방 방법은?

    답)골조송증의 예방법은 크게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균형 잡힌 식 사와 운동이 그 원칙입니다. 골조송증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일어나지만 특히 칼슘 섭취량과 밀 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식사 전체의 균형을 생각하면서 칼슘과 인 · 단백질 ·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는 골조송증이 적고 골대사에 대단히 중요한 비타민 D 는 일광이 있을 때 피부에서 만들어지므로, 무리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운동을 생활화하도록 해야 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식사량은 감소하고 경구로부터의 칼슘섭취가 떨어지므로 노인은 절대적인 칼슘 부족 상태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본래는 성장기의 유아와 같은 정도의 칼슘을 섭취해야 하지만, 장기간의 지속된 식사습관은 좀 처럼 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기호를 충분히 존중하여 간단한 요리를 추가시키거나, 같은 생선이라도 칼슘이 많은 부분을 먹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균형있는 식사를 하도록 해야합 니다.

    골조송증 환자에서는 1일 1,000~1,200㎎의 칼슘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우유 이외에도 칼슘을 다량 함유한 식품은 두부 · 녹미채 · 시금치 · 새우 · 정어리 ·참깨 등이 있습니다.

     

  15. 문325)골조송증의 검사는 어떻게 받아야 합니까?

    답)골조송증은 남성보다 여성에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폐경 후 여성에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얼굴이 화끈거리는 등의 폐경기 증상이 있은 뒤, 사지의 통증과 허리통증이 있는 경우 대부분 골 조송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골연화증,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다발성 골수종, 암의 척 추 전이 등도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 · 소변 · 생화학 검사와 X선 검사가 필요합니다.

    또한 노인성 및 폐경 후 골조송증은 단일 질환이 아닌 증후군으로 여러 가지 원인이 또한 노인성 및 폐경 후 골조송증은 단일 질환이 아닌 증후군으로 여러 가지 원인이 조송증은 발생빈도가 높 아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골조송증의 진단이 내려지면 다음에는 속발성골조 송증의 가능성을 검사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당뇨병은 없는가, 스테로이드제제를 복용하고 있 지 않는가 등을 검토해야 합니다.

    이상과 같은 절차를 거쳐 유사 질환, 속발성 골조송증을 제외해야 노인성 또는 폐경 후 골조송증 을 확진할 수 있습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