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심장, 혈관계통 질환으로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뇌출혈, 뇌동맥경화증, 말초 혈관질환 등 무서운 성인병이 부류에 속하는에 그 근본 원인은 동맥경화증이고 동맥경화증의 원인은 혈청지질 (콜레스테롤)의 증가와 그 중에서도 저밀도 지단백질의 증가에 주요 원인을 두고 있습니다. 그 래서 규칙적인 운동은 LDL의 혈중 농도를 낮추도록 해 동맥경화증의 위험도를 감소시키는데 결 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혈관을 막는 혈전 혈성에도 예방 효과가 있고 혈중산소 운반책인 적혈구의 수도 증가시켜 신체의 각 장기와 근육으로 운반되는 산소량을 증가시켜 줍니다. 따라서 운반시 노폐물로 혈중 에 축적되어 근육피로의 원인이 되는 젖산 생성의 속도가 늦추어져서 사람을 덜 피곤하게 만들 어 주고 있습니다.
답)운동을 하면 평소에 쉬고 있던 예비혈관이 동원되고 활동하는 혈관수를 증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이미 기능하고 있는 혈관의 내경도 확대되어 통과하는 혈류량을 증가시키므로 조직으로의 산소운반 능력이
증대됩니다.
답)사람의 호흡 시작은 호흡근육의 수축으로 시작되고 횡격막과 늑간 근육의 수축으로 시작되 고 횡격막과 늑간 근육의 수축으로 이루어지는데, 근육의 피로는 호흡근육의 피로를 동반하게 마련이며, 호흡근육의 피로는 곧 더이상의 환기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데서 호흡부전증(呼 吸不全症)으로까지 초래되는 계기가 생기기도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이 호흡근육의 증강을 가져 와서 환기능력 및 산소 섭취 능력을 증가 시켜 주고 산소 섭취 능력이 노화방지 효과를 더해 줍니다.
답)우리 신체에는 약 500~600개의 개별 근육이 모여서 인체 기능을 원활하게 해주고 있는데, 규칙적인 운동은 근육을 증가시켜 근육의 크기 뿐만 아니라 근육섬유의 수도 증가시킴으로써 근력 증강에 보탬이 되고 골격에 골다공증의 발생을 방지해 주고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 줍니다.
답)운동 효과로서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히 크며 뇌조직으로의 혈액순환을 증가시켜 혈액성분 뿐만 아니라 '놀에피네프린'등 각종 호르몬의 뇌혈관 농도를 증가시켜 수면을 돕고 정 신집중력, 항우울 효과 등등이 운동 효과로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 밖애도 운동 효과는 간장 · 신장에의 혈액 수송량을 증가시켜 장기의 기능을 증진시켜 주고 각종 '호르몬'계의 활성화를 도 모하여 내분비 기능을 좋게 해줍니다.
답)운동량을 엄격하게 정하기는 어렵고 대상자의 연령, 성별, 운동 능력, 심폐질환의 유무, 골관 절 상태 등 다른 위험인자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임상측정치로서 심전도, 맥박수의 변동, 혈압의 변동, 호흡기능검사, 최대 산소 섭취량 등을 측정해서 간접적으로 그 사람의 운동능력을 측정하 고 그 성적에 근거한 운동 능력에 따라서 운동량을 정해 주는 것이 운동처방입니다.
답)사람은 성장기(25세)가 지나게 되면 체력이 감소되고 반면에 체중은 증가하여 운동 능력은 저하되면서 혈압은 점점 올라갑니다.
생리적으로 볼 때, 사람의 체중 증가는 섭취하는 영양분을 소모시키지 못하고 지방으로 변화시 켜 체내에 저장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저긍로 사람은 해마다 대체로 지방이 1㎏씩 증가하는 반면 활동근육은 약 250g씩 감소됩니다.
따라서 15년이 지난 40세가 되면 25세의 체중에 비해 약 12㎏ 정도의 지방이 증가하고 활동 근육은 오히려 4㎏ 정도 감퇴됨으로 지방을 연료로 만들 어 사용하는데 필요한 조직은 없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