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정신장애 (394~405)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갱년기정신장애 (394~405)

갱년기정신장애 (394~405) 목록

  1. 문394)갱년기란 몇살부터 말합니까?

    답)대개 50세에서 65세까지를 말합니다.

     

  2. 문395)갱년기에 대한 살아가는 유형 세 가지는 무엇인지요?

    답)①갱년기를 인식하지 못하고 열심히 자기 일을 해나가는 사람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사람입 니다.

    ②갱년기에 처했음을 깨닫고 자기가 살아 온 과거를 점검해보고 앞으로의 계획을 설계해 나가 는 사람으로 성실히 살아가는 유형입니다.

    ③지나간 인생을 후회하고, 현재 커다란 난관에 봉착했다고 생각하면서 미래의 모든일은 희망 이 없고 암담하기만 하다고 판단하는 사람으로, 갱년기 정신질환에 잘 걸릴수 있는 유형입니다.

     

  3. 문396)갱년기에서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답)①신체가 노쇠해져서 건강에 자신을 잃고 있을 때,

    ②다가오는 죽음에 대해서 두려움을 느낄 때,

    ③인생의 한계를 느낄 때 등입니다.

     

  4. 문397)갱년기를 잘 넘기지 못하는 성격의 소유자는?

    답)①성격이 철저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남의 신세를 지지 않고 자수성가한, 그러나 융통성이 없 는 사람, 성급한 사람, 이런 사람은 우울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②의심이 많으며, 까다롭고 대인관계가 편협한 사람, 이런 사람은 갱년기 편집증(偏執症)에 걸 리기 쉽습니다.

     

  5. 문398)갱년기 장애질환을 극복하는데 유의할 점은?

    답)①잘 키워지고 잘 커야 합니다. 이는 어린 성장기의 과정이 중요함을 말합니다.

    ②자존감이 있어야 합니다. 스스로 자신을 높이지도 낮추지도 않는 자존감은 전신 건강의 기본 입니다.

    ③자아가 확대되어야 합니다. 인격의 발달단계에 따른 성숙을 뜻합니다.

    ④문제상황을 직시하고 대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⑤잘 대처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⑥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해야 합니다.

    ⑦의사소통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⑧성취 경험이 있어야 합니다.

    ⑨상황 평가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⑩보다 긍정적인 사고로 안정된 정서를 추구하며, 실현성이 필요합니다.

     

  6. 문399)사추기(思秋期)란 무슨 뜻입니까?

    답)사추기(思秋期)라는 말은 초로의 나이에 접어들면서 특히 여성의 경우, 사춘기 소녀시절 못 지 않게 정서불안, 심리적 갈등 등 열병을 한차례 앓는다는 뜻입니다. 초경이 여성으로서의 고통 스런 첫 출발이었다면 인생의 가을엔 여성임을 상장하는 '생리' 가 멈춰버리는 현상, 즉 폐경이 찾아오며 이러한 신체적 변화가 사추기(思秋期)의 많은 여성에게 신경과민 · 불안 · 우울증 등을 유발합니다.

     

  7. 문400)폐경기 증후군(閉經期症候群)이란 무엇입니까?

    답)'92년 통계청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수명이 약 76세, 폐경기 평균 연령이 약 47세임을 감안하면 여성은 실제로 인생의 3분의 1이상을 폐경기 이후에 보내게 되기 때문에 정 신적 고통뿐 만 아니라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등 폐경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경기증후군'은 양질의 삶을 바라는 많은 여성들이 반드시 극복해야 할 대상이 되겠습니다.

    폐경기가 되면 에스트로겐의 분비감소로 비뇨생식기는 마치 초경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과 마찬가리가 되며, 따라서 폐경기 초기에는 많은 여성들이 질위축 · 배뇨곤란 · 성고통 · 요실금 (웃거나 기침할 때 소변이 나와버리는 현상)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8. 문401)20~30대에서 조기폐경이 의외로 많다든데?

    답)6개월간 생리가 없으면 일단은 의심해야 합니다. 걸릴 확률은 1%로 곧 소실을 동반합니다.

     

  9. 문402)조기폐경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답)①면역성 질환(인체내의 면역체계가 몸안의 조직을 외부조직으로 착각, 이를 파괴하는 질환 으로 근무력증, 당뇨병, 갑상선 질환, 류며티즘 등의 질환 등), ②염색체 이상③수술에 의한 양측 난소 제거, ④항암제 투여나 방사선 조사, ⑤바이러스 감염 등입니다.

     

  10. 문403)갱년기 정신장애의 치료에 대하여 말씀해 주십시요.

    답)갱년기 정신증상의 치료는 중년기 이후, 여러가지 스트레스의 출처와 그가 갖고 있던 방어기 전 등을 잘 이해함으로써 위기로부터 구제되겠습니다. 우울이나 불안에는 항우울제나 진정제 등을 사용하나, 필수적인 것은 중년기 인생주기의 한 단계에서 환자가 견디기 어려운 신체적, 정 신적, 사회적 인자들을 파악하고, 협조와 안정을 보장해 주는 단골의사의 지도가 중요합니다. 따 라서 일단 위기를 뚫고 어둠속을 해치고 나오면 새로운 삶의 출발이 가능하다는 희망을 찾는 것 이 매우 중요하겠습니다.

     

     

  11. 문404)노인층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정신장애는 어떤 것들입니까?

    답)노인들은 젊은이들보다 몇 배나 정신장애가 발생되기 쉽습니다. 그 주요 증상과 원인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①우울즐 : 노화에 따른 장기간의 심적인 부담 등이 문제입니다.

    ②망상 또는 환각상태 :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성격과 환경과의 관계에서, 또는 알코올중독 · 뇌동맥경화 · 노인성치매 등입니다.

    ③지능저하 : 원인은 확실치 않으나, 영양부족 · 빈혈 · 각종 중독 · 두뇌 퇴축 등이 관계되겠습니 다.

    ④불면 · 불안 · 심기성 공포 등 기타와 여러 노이로제 증상들이 빈발합니다.

     

  12. 문405)건강한 노화방법과 함께 훌륭한 적응력에 관하여 말씀해 주십시요.

    답)노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빨리 마음을 바꾸어 새로운 생활에 잘 적응토옥 노력하는 것인데 , 다음과 같은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①일(직업)을 가질 것입니다.

    ②친구를 갖는 것이 좋습니다.

    ③즐거움을 갖아야 하겠습니다.

    ④고민하지 않을 것입니다.

    ⑤가족들과 함께 지낼 것입니다.

    ⑥항상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토록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