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475~480)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유방암 (475~480)

유방암 (475~480) 목록

  1. 문475)유방암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은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답)유방은 에스트로겐 호르몬에 장기간 노출되는 상황일 때 즉, 임신을 한 적이 없는 여성, 초경 (初經)이 빠르고 폐경(閉經)이 늦은 사람, 수유(授乳)의 경험이 없는 여성에게서 발생의 위험이 높습니다.

     

  2. 문476)유방암의 유전성은 어느 정도 인정될 수 있습니까?

    답)유방암이 꼭 유전이라고 얘기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유방암 환자가 있는 가족에서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은 인정되고 있습니다.

    어머니나 자매들 중 유방암 환자가 있는 경우는 발생률이 2배 내지 3배 높으며, 발생 시기도 일반인보다 15~20년 빨리 발생합니다.

     

  3. 문477)유방암을 의심할 수 있는 증세는 무엇입니까?

    답)흔히 통증없는 유방의 멍울이 촉진(觸診)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겨드랑이 임파절증대, 피부 습진, 부종 및 홍반, 젖꼭지의 함몰 및 피와 같은 분비물 등을 들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하겠습니다.

     

  4. 문478)유방암을 조기 발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답)월경 직 후, 양 유방에 멍울이 있는지를 각각 반대편 손으로 세밀하게 만져 보아야 합니다. 거 울 앞에 서서 유두 함몰, 피부색 등을 관찰하고 양팔을 들어 올려 끌려 올라가는 부분이 있는지 봅시다.

    이상 소견이 있으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합니다.

     

  5. 문479)유방암은 반드시 유방절제를 해야만 치료될 수 있습니까?

    답)유방암은 근래까지 유방 · 흉근 · 겨드랑이 임파절을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방법에 의해 치료해 왔습니다.

    최근 종양의 크기가 작을 때(3㎝이내)는 종양만 제거하고 방사선 치료를 해줌으로써 유방을 절 제하지 않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겨드랑이 임파절 절제는 해주어야 하므로 다소 남고, 방사선 치료로 인한 유방의 섬유화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유방의 외형은 큰 손상없이 보존할 수 있습니다.

     

     

  6. 문480)유방암 수술 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치료법이 있습니까?

    답)수술적 치료만 한 경우 종양의 크기가 2~5m일 때, 겨드랑이 임파절에 전이가 있을 때는 재 발율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을 해 주어야 합니다.

    종양 세포의 에스트로젠 및 푸로제스테론 수용체 양성 환자에게는 호르몬 요법을 첨가하거나, 혹은 단독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양 크기가 크거나 흉벽이나 피부침윤, 겨드랑이 임파절 전이수가 많을 때는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